평안 블로그
20161023주일낮예배 제목 : 모르드개와 에스더의 하나님 성경 : 에스더기 4장 8-17절 본문
20161023주일낮예배
제목 : 모르드개와 에스더의 하나님
성경 : 에스더기 4장 8-17절
주제 : 모르드개의 신앙과 인생 사건 해석과 민족과 신앙을 위해 확고한 결단을 하는 에스더를 통하여 우리의 삶을 살피고 우리 인생에 역사하고 은혜주신 하나님을 확실히 믿고 살자.
성경 차례의 성문서 욥 시 잠 전 아 는 창세기가 끝나고 나눈다.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인간 생활을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역대기문서인 역대상, 하기와, 에스라, 느혜미야기는 바빌로니아 포로기를 배경으로 나온 것으로 예언서에서 대부분 말씀 나눴다.
오늘은 성문서와 역대기문서의 특징을 반영하는 에스더기로 말씀나눈다.
저자는 페르시아에 살았으며 페르시아 궁정 역사를 잘 아는 사람일 것으로만 추정될 뿐이다. 에스더기는 사건이 기원전 457-444년경에 발생했을 것이므로 기원전 5세기 후반 경에 써졌을 것이다. 역사를 주관하시는 하나님과 택함 받은 백성을 구원하는 하나님의 은혜를 말하고자 하였을 것이다.
내용
모르드개는 이국 땅 페르시아에 잡혀와 궁궐 문지기로 살지만 하나님을 철두철미 믿었다. 하루는 페르시아 왕 아하수에로가 미인인 와디스 왕후를 신하들을 위한 전승 기념 잔치에 접대하도록 나오도록 하였지만 거절당하자 남편들을 업신여기는 모델이 된다는 신하들에 의하여 폐위된다. 대신 모르드개의 양녀로 삼은 사촌 여동생을 에스더가 전국에서 뽑혀 황후가 된다.
- 부부관계나 인간관계에서 상대방의 바라는 바를 자존심으로 존중하지 않거나 거부하면 자존심이 세워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센 사람이라고 부정 평가되고 오히려 무시되며 불행한 치욕을 당하게 된다. 내키지 않는다면, 또는 마음에 들지 않다면 외적으로라도 큰 일거리 아니니 그냥 순종하여 현명하게 대처하면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을 자존심 고집한 결과다. 그러면 상대는 물론 자신과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관계를 끊게 되며 자신에 맞는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데 어느 날 문지기 내시의 왕을 죽이자는 음모를 알게 된 모르드개는 에스더를 통하여 왕에게 알려 왕의 신임을 받는다.
한편 하만은 왕의 신임을 받는 총리대신이었다. 하만은 모르드개가 대궐 문에서 다른 모든 사람들과 달리 무릎을 꿇지 않고 절을 하지 않는 것은 유대인들이 하나님을 믿는 이유로 인한 것임을 알고 유대인들은 자기들끼리 살며 왕의 법도를 지키지 않는다고 왕에게 모함하여 왕으로부터 유대인들을 죽이라는 조서를 승인받아 앗시리아 지배한 각 지역에 공지한다. 이로 인해 모르드개를 비롯한 각 지역에 사는 유대인들은 탄식하며 금식하고 회개의 베옷을 입는다.
- 하나님의 백성이 아니고는 민족이 죽게 된 어려운 일을 당하여 하나님을 찾지도 않고 회개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모르드개는 에스더에게 이 사실을 알린다. 왕후 에스더는 모르드개를 베옷을 벗고 평상복을 입으라고 하닥을 통하여 전달한다. 하지만 모르드개는 듣지 않는다. 모르드개는 에스더로부터 자신에게 보내진 하닥을 시켜 에스더에게 누구로 인하여 왜 왕후가 되었는가 왕후가 된 것은 이런 때를 위한 것이라 하며 왕에게 자비를 구하고 최선을 다해 겨레를 살리라 탄원하도록 전한다.
- 인생 사건마다 그 의미를 그저 원인에 의한 결과만을 말하는 자연주의적인 사고를 하는 불신자의 행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믿는 백성으로써의 의미를 해석하고 믿고 살아가는 전형을 보여준다. 이러한 에스더기의 내용이기에 후대 하나님의 계시를 일반화해야 했던 성경 정경화 시기에 하나님의 말씀으로 인증되어 후대를 위하여 구약성경에 들어간 것이다.
에스더는 각 지역에 있는 유대인들에게 자신을 위하여 금식하도록 해달라고 하고 자신은 죽으면 죽으리라는 심정으로 그 일을 수행하겠노라고 알린다.
- 신앙을 가진 자의 장점은 술에 물 탄 듯 물에 술탄 듯 하지 않는다. 분명이 아니면 아니고 기면 긴 것이다. 확신에 찬 에스더의 행동이었다. 죽음을 각오하기가 쉬운 것은 아니다. 문제가 있고 부당한 사건의 음모 대하여 확고한 신앙의 관점에서 하나님께 충직한 모습의 결단을 위하여 자신을 강화한 것이다.
그러던 어느 날 아하수에로 왕은 잠이 오지 않자 모르드개가 지난 날 자신을 죽이려 한 반역자들을 에스더를 통해 알려준 내용의 왕조실록을 읽고 생각이나 모르드개에게 상을 내리기 위하여 총리 하만의 자문을 받는다. 하만은 자기가 대상인양 착각하고 왕의 옷과 말을 주어 왕께서 높이시고자 하는 사람을 이렇게 높이 대우하신다고 외치도록 왕에게 조언한다. 그러나 자신이 장대에 죽이려한 모르드개에게 대우한 것을 알고 낙망하여 집에 도망 가 있다가 에스더의 잔치에 불려가 자신의 음모가 드러나고 모르드개를 죽이기 위해 마련한 장대에 죽게 된다.
결국 모르드개는 총리가 되고, 유대인들이 죽는 날이 오히려 그들을 괴롭힌 사람들을 죽이는 날이 되게 한 조서가 각 지역에 공지되어 시행된다. 후대 유대인들은 이 날을 부림절로 삼고 기념하며 지킨다는 내용이 에스더기다.
우리가 에스더기를 통하여 배워야 할 것은 바로 모르드개와 에스더의 신앙이다.
첫째, 에스더가 왕후가 된 사건은 하나님이 유대인을 구하기 위한 예정된 사건이라는 모르드개의 인생 사건 해석과 믿음이다. 인간의 역사는 하나님이 주관하신다는 말이다.
둘째, 죽으면 죽으리라는 에스더의 확고한 신앙이다. 그러한 각오를 통하여 하나님은 음모에 죽을 뻔한 민족을 반전시켜 살린다. 사람들의 괴로움과 고통은 확고한 신앙 안에서 그것을 이겨내도록 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라는 것이다.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구원하는 은혜로신 분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하나의 사건이나 이야기에 불과한 내용이 어떻게 성경이 되었는가? 그것은 하나님이 인간의 사건과 인생을 주관하신다는 것과 자기 백성을 구원하는 하나님의 은혜로 인한 것이다. 하나님의 우리 인간에게 역사하시는 은혜를 깨닫는 여러분 되기를 축원한다.
'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1106주일낮예배 제목 들으라(쉐마) 성경 신명기 6장 1-9절 주제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실천하자. (0) | 2018.12.13 |
---|---|
20161030 #다윗의 회개와 하나님의 자비 #사무엘하기 24장 18-25절 (0) | 2018.12.13 |
20161016주일낮예배 제목 들을 수 있는 사람 성경 이사야 55장 1-8절 주제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돌아오라 (0) | 2018.12.13 |
20161009주일낮예배 제목 말씀을 듣고 받아 행하자 성경 25장 1-14절, 29장 10-14절 (0) | 2018.12.13 |
20161002주일낮예배 제목 거룩함을 회복하라. 성경 에스겔 36장 22-28절 주제 하나님이 주인인 것을 알자. (0) | 2018.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