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재림 (7)
평안 블로그
20231224 깨어 믿음으로 힘을 내자 고린도전서 16장 13-14절 오늘은 고린도전서 마지막 16장 말씀이다. 크게 1-4절, 5-12절, 13-24절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예루살렘교회 돕는 말씀, 고린도교회 교회 방문 계획에 대한 말씀, 결론적인 당부와 문안 인사 말씀이다. 1-4절까지에서 바울은 흉년으로 굶주린 형편에 있는 예루살렘교회 교우들을 돕도록 고린도교회에 헌금하도록 했다고 쓴다. 이것은 바울이 예루살렘 교회 형편을 알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1 성도들을 도우려고 모으는 헌금에 대하여 말합니다. 내가 갈라디아 여러 교회에 지시한 것과 같이, 여러분도 그대로 하십시오. 헌금 또는 연보(로게이아 λογεία)는 신약성경 여기에서만 쓰였다. 강압적 성격이 아닌 자발적 성격이 있다. 세..
20231008 모든 일에 감사하자 데살로니가전서 5장 16-18절 오늘은 신약성경 기록 순서에 따라 가장 먼저 기록된 데살로니가전서다. 바울과 실라, 디모데는 당시 현 그리스 빌립보에서 에그나시아 로마 신작로를 따라 암비볼리, 아볼로니아를 거쳐 50년경 데살로니가에 도착한다. 빌립보 교회의 후원을 받으며 바울은 유대인 회당에서 3주간 예수는 메시아고 죽었다가 살아났으며 다시 오실 것이라고 하며 제2차 선교여행 중이었다. 사도행전 17장 1-9절을 비롯 사도행전 17-18장이 배경이다. 가난한 자들과 사회적으로 소외된 사람들이 의지하던 전통적인 데살로니가 카비루스 신화를 대신하는 예수에 관한 바울의 선교는 소외 계층을 선동하고 기존 질서를 뒤엎는다고 지역 당국자들에게 느끼게 했다. 더구나 그 지역 유대인..
* 이단들이 권리 침해당했다고 신고하여 인정할 수 없지만 삭제하고 수정하여 올린다. 20190106설교 덕스럽게 되는 해 데살로니가전서 5장 1-11절 1. 새해 첫 주일예배다. 새해 첫 주일예배다. 지난해는 가고 반복되지만 새롭게 새해가 이미 시작되었다. 올 한 해 이제까지의 삶을 바꾸어 새롭게 변화되어 힘차게 살아가기를 축원한다. 오늘 말씀은 재림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데살로니가전서로 나눈다. 2. 데살로니가전서 바울과 실라, 디모데는 빌립보에서 로마의 신작로인 에그나시아 가도를 따라 암비볼리, 아볼로니아를 거쳐 50년경 데살로니가에 도착한다. 빌립보 교회의 후원을 받으며 바울은 유대인 회당에서 3주간 예수는 메시아이고 그는 죽었다가 살아났으며 다시 오실 것이라고 선교한다. 가난한 자들과 사회적으로 ..
20190421설교 이전 것과 새로운 세상 요한계시록 21장 1-8절 1. 오늘은 부활 기념 주일예배를 드린다. 오늘로 계시록 19장-22장 끝까지, 곧 신약 성경 말씀을 마친다. 다음 주부터는 개념과 주제가 있는 말씀을 나눈다. 새로 시작한다는 의미 더 이상 돌이킬 수 없고, 고칠 수 없고, 해결 불가능 ..
베드로후서는 몇 가지 논란이 되는 서신이다. 저자가 베드로인가 그 제자인가 베드로 빙자자인가 등과, 써진 시기가 베드로가 순교하기 직전인 67년경 이전인가 1세기 말 이전인가 2세기 중엽 이전인가, 그리고 동일한 단어와 문장을 부분적으로 쓰고 있는 유다서 후속편인가 아닌가의 문제다. 그 배경은 영지주의와의 관계에서 발생한 것으로 예수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온 것이리라. 예수는 과연 신인가 인간인가, 예수를 통하여, 곧 예수가 사람들의 죄를 대신하여 십자가에 죽고 부활했다고 하는 인식에서 그를 믿음으로 구원받는다는 것의 의미를 헬라 문화와 철학적 관점에서 보아야 하는 가의 문제와 연관된다. 전통적 입장은 물론 베드로후서 본문에서 언급한 대로, 곧 "시므온 베드로가 편지를 썼다"(벧후1:1), "육신의 장..
바울은 데살로니가전서가 보내진 후에도 데살로니가교회에 몇몇 문제들이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그 문제 해결을 위한 답으로 데살로니가후서가 데살로니가교회에 보내진 것이다. 바울의 다른 편지가 있다는 소문과 예수님이 당장 오신다는 종말임박 사상으로..
바울과 실라, 디모데는 빌립보에서 로마의 신작로인 에그나시아 가도를 따라 암비볼리, 아볼로니아를 거쳐 50년경 데살로니가에 도착한다. 빌립보 교회의 후원을 받으며 바울은 유대인 회당에서 3주간 예수는 메시아이고 그는 죽었다가 살아났으며 다시 오실 것이라고 선교한다. 가난한 자들과 사회적으로 소외된 사람들이 의지하던 전통적인 데살로니가 카비루스 신화를 대신하는 예수에 관한 바울의 선교는 소외 계층을 선동하고 기존 질서를 뒤엎는다고 지역 당국자들에게 느끼게 했고, 더구나 그 지역 유대인들은 빌립보 유대인들과 마찬가지로 바울의 예수 메시아론으로 인한 자신들의 선교 위축 내지 위협을 느껴 바울이 로마 당국에 대적하는 왕을 주장한다는 음모를 하여 그 지역 당국자들을 부추켜 바울 등이 수사를 받게 한다. 수사관들은..